로고

ㆍHOMEㆍLOGINㆍJOINㆍSITEMAPㆍLOCATION

주메뉴

  • 병원소개
    • 인사말
    • 의료진소개
    • 병원둘러보기
    • 시설 및 장비소개
    • 병원오시는길
  • 진료안내
    • 진료안내
    • 진료케이스
  • 전문진료
    • 내과진료센터
    • 영상진료센터
    • 내시경센터
    • 센트럴재활한방센터
    • 치과센터
    • 건강검진센터
    • 외과수술센터
    • 고양이진료센터
    • 노령동물의학센터
  • 뷰티안내
    • 미용안내
    • 뷰티갤러리
    • 용품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언론보도
    • 질병정보/상식
    • 온라인상담
    • 동물의학연구소
    • 센트럴 갤러리

부가메뉴

  • 센트럴AMC
    • 심장혈관센터 소화기센터 영상진료센터 내분비센터 내시경센터 건강검진센터 응급치료센터 센트럴재활한방센터 종양센터 치과센터 전염병센터 센트럴재활운동센터
  • 수술센터
    • 골절수술 관절수술 비뇨기수술 종양제거수술 위/장(소화기)수술 피부및귀수술 탈장수술 치과수술 안과수술 일반외과수술 중성화(불임)수술x
  • 고양이진료센터
    • 심근비대성질환 하부요로기질환 신부전증 갑상샘기능항진증 당뇨병 천식 고양이상부호흡기증후군 고양이복막염 범백혈구감소증
  • 노령동물건강의학센터
    • 종양 신부전증 간질환 심부전 결석 췌장염 호르몬질환 경련,발작 치 한방치 디스크질환 안과
  • 진료상담
  • 내과진료센터
  • 영상진료센터
  • 내시경센터
  • 센트럴재활한방센터
  • 센트럴재활운동센터
  • 치과센터
  • 건강검진센터
  • 외과수술센터
  • 고양이진료센터
    • 심근비대성질환
    • 하부요로기질환
    • 신부전
    • 갑상선기능항진증
    • 당뇨병
    • 천식
    • 상부호흡기증후군
    • 전염성복막염
    • 범백혈구감소증
  • 노령동물건강의학센터
  • 진료시간표
  • 건강검진 센터
  • 의료진 소개
  • 병원 내부 안내
  • 블로그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약속합니다.

  >  전문진료  >  고양이진료센터

전염성복막염

Feline Enteric Coronavirus (FECV)는 Feline Coronavirus virus(FeCoV)가
체내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발생되는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고양이과의 사육 및 야생동물에 있어서 이환된경우 급성 혹은 만성적으로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임상적으로 명확히 진단된 경우 대부분은 죽게됩니다.
미국에서는 고양이 백혈병(Feline leukemia virus)과 더불어 매년 일백만 두 이상의
고양이를 폐사시키는 무서운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살 이하의 고양이들에서 주로 감염되며 FIP에 감염된 고양이의 40% 정도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백혈병 바이러스에 의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복막염 바이러스에 더 취약하게 감염되는 요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임상증상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은 습성형과 건성형으로 분류하는데 이 중 60-70%는 습성형태를 나타냅니다.
반복되는 체온의 변화와 함께, 기력부진, 체중감소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습성형(Wet form)의 경우 건성형에 비해 급성으로 발현됩니다.
복강과 흉강에 염증이 생기고 장액이 축적되어 흉수증과 복수증을 유발합니다.
식욕저하와 체중감소, 황달, 설사 등의 임상 증상을 나타냅니다.
주로 급성으로 진행되며 예후는 위험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건성형(Dry form)의 경우 병변의 진행은 서서히 나타나며, 눈과 코에서 분비물이 나오거나,
식욕저하, 체중감소, 발열, 침울, 황달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습성형과는 다르게 흉수 및 복수는 나타내지 않습니다.
건성형의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눈, 뇌, 심장 그리고 간장에
염증이 생기고 마비 및 발작을 일으킵니다.

진단

건성형의 경우 생존 당시의 확진은 매우 어려우며 임상증상과
여러 검사결과를 토대로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습성형의 경우 삼출액분석, Rivalta test 등으로 보다 쉽게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혈액검사, 방사선, 초음파. FeCoV 항체 검사, 전기 영동 검사 등이 있습니다.

  • 흉수가 생긴 고양이의 흉강


  • 복막염에 이환된 고양이의 혈액검사 결과

  • Rivalta test

치료

임상증상이 발현되면, 드물게 회복되기도 하지만,
치료에 대한 예후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요한 치료는 떨어진 나타나는 증상들에 대한 대증치료 및 떨어진 영양상태를 보충해주게 됩니다.
이외에 면역반응에 의한 자가 손상을 막아주는 것으로 스테로이드, 인터페론 등으로 이루어지며
삶의 질을 개선시켜주는 방향으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207 (구) 행당동 318-36 사업자등록번호 206-22-69540 대표: 김석중 TEL 02-3395-7974~5 FAX 02-3395-7973
copyright 2014 CENTRAL animal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