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흡기시에 호흡기 상피가 항원에 노출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보여
기도가 좁아지거나, 폐쇄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기관지의 부종과 과증식(Hyprthropy)을 보이며,
염증반응으로 인해 삼출물의 분비가 증가되며 폐기종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숨을 들이마실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snorging)을 나타내거나
만성적인 상부호흡기 질화에 대한 치료 실패후 내원하기도 합니다.
임상증상
좁아진 기도로 인해 천명음이 들리며, 기도의 민감도(sensitivity)가 증가되어 기침이 쉽게 유발됩니다.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 될 수 있지만, 주로 2-8세령에서 다발합니다.
일반적으로 몇 주 혹은 몇개월간 기침이 지속되며 기침 및 호흡곤란의 정도는
개체나 이환된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합니다.
진단
청진 및 방사선 검사, 기관 세척, 혈액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1차적으로 병력상 기침, 천명음, 빈호흡, 노력성 호흡곤란, 개구호흡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방사선 촬영상 기관지벽의 비후 소견등이 진단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그 외에 심장사상충 검사, 심초음파 검사, 기관지 - 폐포세척등이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천식에 이환된 고양이의 흉부 방사선 사진
치료
우선적으로 산소 및 흡인성 혹은 전신성 기관지 확장제나 스테로이드 요법을 사용하며
대부분의 이환된 고양이에서 치료에 대한 좋은 반응을 보입니다.
치료 반응에 따라 수의사에 의해 다른 치료 방법이 지시될 수 있습니다.
완치는 어려우며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질환 중 하나이기 때문에
꾸준한 관심과 치료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